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Fashion] 직물 - 일반 직물(5)

by pinkipig 2022. 4. 28.

41. 타프타(TAFFETA)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견, 현재 섬유는 견, 합성섬유이다.

*구조 및 특징 : 필라멘트사로 촘촘한 평직이다. 날실과 씨실이 같은 굵기이나 씨실보다 날실이 촘촘하다. 단단하고 매끈한 직물이며 아주 미세한 가로 방향의 골이 있다. 움직일 때 사그락 거리는 비단소리가 나며 이것을 scroop이라고 하는데 산 처리 과정으로 생긴다.

*이름의 유래 : 페르시아어 tafta는 광택 있는 비단을 의미하며 옛날에는 taffatie 혹은 taffety라고도 했다.

*무게 및 용도 : 보통 가벼우나 간혹 무거운 것도 있다. 드레스, 리본 장식, 안감, 운동복(squall, ski), 커튼, 전등갓, 가방의 안감, 우산에 쓰인다.

42. 터써(TUSSAH)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야생견, 현재 섬유는 야생 견직물이다.

*구조 및 특징 : 야생 견사는 양잠 견사 보다 거칠고 고르지 않고 더 뻣뻣하며 연한 갈색, 노란색을 띤다. 스펀사이며 매듭이나 마디가 있어서 고르지 않다. 야생견은 생견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생견은 양잠견의 gum을 제거하지 않고 직조한 것으로 뻣뻣하고 광택이 없다. 황마로 만든 거친 직물과 유사한 외관을 보이기도 한다. 원래는 벵갈이나 인디아 지방의 실크였으나 현재는 널리 쓰이는 용어가 됐다. 보통 tussah라고 하면 평직이나 다양한 직조, 편물이 가능하다.

*이름의 유래 : Sanskrit어로 tasara는 북(shuttlr), India어 muga는 밝은 갈색으로 인디아의 야생견의 색상이다.

*무게 및 용도 : 무거운 편으로 슈트, 원피스, 가구에 쓰인다.

43. 티킹(TICKING)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아마, 황마, 현재 섬유는 면, 면혼방(폴리에스터)이다.

*구조 및 특징 : carded yarn으로 날실보다 씨실에 꼬임이 적다. 티킹은 날실 방향으로 선염된 줄무늬가 있고 보통 2/1 능직 혹은 평직이나 수자직도 있다.

*이름의 유래 : 라틴어 'teca'는 case라는 뜻으로 베개나 매트리스 싸개 혹은 덮개로 쓰였다.

*무게 및 용도 : 촘촘하고 내구력이 있는 무거운 직물로 베개나, 매트리스를 싸는 천, 가구, 운동복이나 작업복용이며 줄무늬 ticking은 특히 철도 노동자의 작업복과 모자로 많이 쓰였다. coutil는 신축성이 없어서 corset이나 belt로 많이 쓰였다.

44. 트위드(TWEED)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거친 모, 현재 섬유는 거친모나 면, 합성 및 혼방이다.

*구조 및 특징 : 서로 색이 다른 실을 혼합하여 은은한 혼합색 실을 만들어 내거나 초벌 꼰 다음 염색해서 얼룩덜룩한 밧줄 같은 색상 효과를 얻기도 하고 순록 털이나 거친 양털 등 색다른 털을 섞기도 한다. 대조되는 색상은 작은 섬유들이 트위드직의 특성이며 nub, knub, bourette, knickerbocker, nep, spot이라고 불린다. carded(woollen spun) 사이며 거친 털이 있다. 스코티시 트위드는 오른쪽 방향 능직이며 donegal 같은 아이리쉬 트위드는 평직, 대부분은 능직이다. homespun은 단순한 평직으로 트위드처럼 보인다.

*이름의 유래 : tweed는 스코틀랜드에서 twill직을 의미하는 tweel의 오기일 수도 있고 혹은 스코틀랜드 국경 지방의 tweed 강가를 따라 많은 모직물 생산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유래된 이름일 수도 있다.

*무게 및 용도 : 무겁다. 바지, 스커트, 슈트, 코트, 가구에 쓰인다.

45. 포플린(POPLIN)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견, 견과 모혼방, 현재 섬유는 면, 폴리에스터와 혼방이다.

*구조 및 특징 : carded yarn이나 combed yarn으로 날실이 씨실보다 많이 쓰이고 씨실이 보통 더 무겁다. 촘촘한 평직이며 북아메리카산은 날실보다 씨실이 두껍기 때문에 가로방향 미세한 골이 나타나고 영국산은 cotton broad cloth와 마찬가지로 섬세하다.

*이름의 유래 : 프랑스어 papeline에서 왔다 papal은 교황에 관한 것이라는 의미로 원래 아비뇽에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100% 견이었으며 아일랜드에서 worsred wool을 씨실로 하여 제작되기도 했다.

*무게 및 용도 : 튼튼한 직물로 무거운 것도 있고 가벼운 것도 있다. 셔츠, 원피스, 파자마 혹은 레인코트, 바지, 운동복 등에도 쓰이며 남성복, 여성복, 아동복에 두루 쓰이고 가구용으로도 쓰인다.

46. 플란넬(FLANNEL)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모, 현재 섬유는 모, 면과의 혼방이다.

*구조 및 특징 : carded yarn이면 평직으로 짜고 comced yarn이면 2/2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능직으로 짠다. worsted flannel은 보다 섬세하고 촘촘하며 형태 유지성이 매우 뛰어나 맵시가 좋다. 아주 가벼운 솜털이 표면에 있다.

*이름의 유래 : 웨일스어로 gwlan은 모, gwlanan은 모직물을 뜻하는데 나중에 flannel이라고 불리게 된다

*무게 및 용도 : 무거운 것으로는 바지, 스커트, 슈트, 코트, 가벼운 것으로는 잠옷, 홈웨어, 셔츠, 스포츠웨어를 만든다.

47. 플란넬렛(FLANNELETTE)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면, 현재 섬유는 면, 면혼방이다.

*구조 및 특징 : carded yarn으로 씨실이 더 두껍고 날실보다 약한 꼬임이 있다. 대부분 평직이나 드물게 능직도 있는데 능직이 더 단단하고 강하다. 씨실에 의한 가벼운 솜털이 겉면, 혹은 양면에 있다. 융이라고도 한다.

*이름의 유래 : flannelette은 flannel의 지소어이다.

*무게 및 용도 : 가벼운 편으로 어린이용 의복과 잠옷, 시트 등에 많이 쓰인다. 촘촘하게 짜인 고급품은 셔츠, 스포츠웨어, 아동복, 안감, 장갑 등에 쓰인다.

48. 홉색(HOPSACK)

*소재의 종류 : 원섬유는 대마, 황마, 현재 섬유는 linen type-면, 마, 혼방, wool type-모, 혼방이다.

①linen type : carded yarn으로 면 홉색은 보통 2X1 바스켓 구조이다. 무거운 편이며 운동복이나 통기성이 좋은 커튼 등에 쓰이는데 안락하고 주름이 적다.

②wool type : worsted yarn으로 무거운 편이며 2X2 바스켓 구조이다. 바지, 코트, 슈트용으로 쓰이는 barathea는 오른쪽으로 가파른 능직선이 나타나는데 씨실 2겹을 써서 능직으로 직조하기 때문에 바스켓직의 특성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twilled hopsack 혹은 basket twill이라고도 한다.

*이름의 유래 : hopsack은 맥주용 홉을 담는 포대로 쓰던 것이다. monk's clith는 수도승들이 고행 때 입던 거칠고 조잡한 직물에서 온 이름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