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식 테이프◈
1. 브레이드(BRAID)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말갈기, 말총, 모헤어, 현재 섬유는 빳빳한 인조 장섬유(나일로, 폴리프로필렌)이다.
*구조 및 특징 : 가볍고 빳빳한 섬유를 서로 엮어 땋듯이 짠다. 각 섬유의 방향은 보통 환성 선에 사선으로 놓이며 원통형의 구조를 갖기도 한다. braid는 넓은 것은 없고 좁은 끈 형태이다. 실의 방향으로 인해 직물의 바이어스와 같은 약간의 탄력성이 있다.
*이름의 유래 : 지그재그 형태의 braid는 ricrac, 전통적으로 의복 장식에 쓰인 납작한 braid soutache라고 한다. passementrie는 가장자리 장식을 지칭하는 일반 용어로 쓰인다. 프랑스어의 passement에서 온 말로 17세기 이전에는 lace라는 의미였다.(passement은 바늘로 구멍을 내 무늬를 만든 양피지)
*무게 및 용도 : 가벼운 것부터 무거운 것까지 다양하다. 가볍고 빳빳한 종류는 밑단 모양을 유지하거나 모자를 만드는 데 쓰인다. braid는 장식끈이나 가장자리 장식, 카펫 등에 많이 쓰이며 구두끈에도 쓰인다.
2. 김프(GIMP)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견섬유로 심이 되는 철사나 면을 싸고 현재 섬유는 합성섬유, 나일론이나 레이온으로 같은 질의 두꺼운 심, 혹은 면으로 된 심을 말아 감는다.
*구조 및 특징 : raschel 날실 방향 편직의 테이프처럼 좁은 직물로 나선 모양의 장식 실을 스펀이나 필라멘트로 된 바닥면 위에 붙인다. 바닥면은 고리로 밀착 연결한 형태이다. 심은 필라멘트사로 감싸며 두꺼운 실, 여러 겹의 가는 실 혹은 철사를 쓰기도 한다. gimp yarn은 레이스와 자수에도 이용된다.
*이름의 유래 : 네덜란드 'gimp'나 프랑스어의 'guimper'는 실크로 칭칭 감는다. 혹은 싼다라는 의미이다.
*무게 및 용도 : 의루나 가구류의 가장자리 장식으로 쓰인다.
◈부직포◈
1. 가죽(LEATHER)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동물의 외피, 현재 섬유는 동물의 외피, 합성섬유이다.
*구조 및 특징 : 털이나 깃털을 제거하여 가죽을 부드럽고 견고하게 보존하는 과정을 무두질이라고 한다. 두꺼운 가죽을 켜서 외곽층은 top grain이라고 하고 내피를 suede라고 한다. 층에 따라 grain 없이 양쪽 다 suede가 되기도 한다. 가죽은 요철 무늬, 염색, 코팅 등 다양한 가공 효과를 줄 수 있다. 가죽에 털이 남아있으면 fur아고 하는데 sheepskin만 예외로 moufflon(프랑스어로 야생 양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모피는 dressing 처리하며 가죽의 tanning과 같은 효과이다.
*무게 및 용도 : 겉옷류나 인테리어 용품에 쓰인다. 안쪽에서 긁어낸 suede는 봉제하여 한 장으로 만드는데 방풍용으로 코트의 안감에 쓰이기도 한다.
2. 부직포(NONWOVEN)
*섬유의 종류 : 원섬유와 현재 섬유 모두 다양하다.
*구조 및 특징 : 실이 없는 직물구조이다. 부직포는 모나 동물 털을 이용한 felt 이외의 방법으로 섬유로부터 직접 만들어진 직물에 대해 미국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나무의 안 껍질로 만들어진 tapa나 bark cloth도 넓게 보면 nonwoven이며 가죽류도 자연 직물이라는 것만 제외하면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 섬유질이 없는 것까지 범위를 넓힌다면 film이나 form도 포함하는 넓은 분야이다.
*무게 및 용도 : 매우 다양해서 의류, 인테이러용, 공업용, 농업용에 쓰인다.
3. 스웨이드(SUEDE)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가죽 안쪽에 있는 단백질 섬유, 현재 섬유는 면혼방, 나일론, 견, 폴리에스터 그 외 다양하다.
*구조 및 특징 : 스펀이나 필라멘트가 쓰이며 필라멘트사를 쓸 경우 섬유를 절단해서 외관과 촉감에 스웨이드의 특성을 준다. 직고, 편직, 부직포로 제작 가능하다.
직물은 brushing하여 솜털을 세우거나 sand 가공 효과로 섬유가 잘라지거나 거칠어져서 짧고 부드럽고 촘촘한 솜털이 되어 진짜 스웨이드처럼 보인다. brushing이나 sanding은 모두 건식가공이며 합섬섬유 필라멘트 직물은 부드러운 스웨이드 표면의 느낌을 주기 위해 emerize 가공된다. sand wash 된 견도 비슷한 느낌을 준다.
*무게 및 용도 : 무거운 것도 있고 가벼운 것도 있다. 잠옷, 홈웨어, 원피스, 운동복, 재킷, 슈트, 장갑, 장신구, 가구류에 쓰인다.
4. 펠트(PELT)
*섬유의 종류 : 원섬유는 모, 모헤어, 퍼섬유, 현재 섬유는 모 외에서 다양하다.
*구조 및 특징 : 방적이 되지 않고 섬유에서 바로 펠트로 만든다. 한 층의 성글게 틀어 논 솜 같은 상태의 섬유를 모섬유와 엉키게 한다. 가열, 가압, 가습 하면서 심하게 흔들어 주면 모섬유 외부의 비늘구조로 인하여 섬유는 한 방향으로 모여든다. 섬유층은 두꺼워지고 줄어들며 서로 엉킨다. 이런 가공을 펠트 가공이라고 하며 이 과정으로 얻어진 직물을 펠트라고 한다. 펠트의 솜털을 정리하고 축융시키기도 한다.
*이름의 유래 : filter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튜튼 말에서 온 옛날 영어이다.
*무게 및 용도 : 무겁다. 모자용이 주된 용도 였으며 심지나 단열재, 액세서리, 가방, 슬리퍼, 식탁 깔개로 사용 쓰인다. 모섬유가 많이 섞이지 않으면 잘 찢어진다. 그러나 올이 풀리지 않고 단열과 방음효과를 보고 있다. 펠트는 드레이프성이 좋아 충격음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특별한 용도나 산업용으로 많이 쓰인다.
댓글